백준 파이썬 공부 2025.03.05
11279번 최대 힙 (실버 2)
1. 문제
널리 잘 알려진 자료구조 중 최대 힙이 있다.
최대 힙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연산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1. 배열에 자연수 x를 넣는다.
2. 배열에서 가장 큰 값을 출력하고, 그 값을 배열에서 제거한다.
프로그램은 처음에 비어있는 배열에서 시작하게 된다.
2. 입력
첫째 줄에 연산의 개수 N(1 ≤ N ≤ 100,000)이 주어진다.
다음 N개의 줄에는 연산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정수 x가 주어진다.
만약 x가 자연수라면 배열에 x라는 값을 넣는(추가하는) 연산이고,
x가 0이라면 배열에서 가장 큰 값을 출력하고 그 값을 배열에서 제거하는 경우이다.
입력되는 자연수는 2^(31)보다 작다.
3. 출력
입력에서 0이 주어진 횟수만큼 답을 출력한다.
만약 배열이 비어 있는 경우인데 가장 큰 값을 출력하라고 한 경우에는 0을 출력하면 된다.
4. 문제 풀이
처음으로 그냥 리스트 정렬을 이용해서 풀어보겠다.
>>> 코드 0. 리스트 정렬 >> 시간초과
import sys
def heap(n):
if n == 0:
if len(num) == 0:
print(0)
else:
print(num.pop())
else:
num.append(n)
num.sort()
num = []
for _ in range(int(sys.stdin.readline())):
n = int(sys.stdin.readline())
heap(n)
당연하지만 시간초과가 된다. 정렬을 매번 시행하면 시간이 너무 많이 걸린다.
하나는 파이썬에서 제공하는 힙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쉽게 짜보았다.
파이썬 heapq 라이브러리에서 제공하는 힙을 최소힙이기 때문에,
최대 힙으로 만들려면 약간의 꼼수가 필요하다.
해당 값을 저장 할 때, (-n, n)으로 해당 값의 음수 버전을 같이 튜플로 묶어 힙에 저장하면,
최대 힙을 구현 할 수 있다.
>>>코드 1. heapq 라이브러리 사용
import sys
import heapq
def heap(n):
if n == 0:
if len(num) == 0:
print(0)
else:
a, b = heapq.heappop(num)
print(b)
else:
heapq.heappush(num, (-n, n))
num = []
for _ in range(int(sys.stdin.readline())):
n = int(sys.stdin.readline())
heap(n)
다음은 그냥 쌩으로 힙을 구현해보겠다.
<<힙>>
- 우선순위 큐를 위해 고안된 완전 이진 트리 형태의 자료구조
- 여러 값 중, 최대 값과 최소값을 빠르게 찾아내도록 만들어진 자료 구조
- 반 정렬 상태를 유지
- 이진 탐색 트리와 달리 중복된 값이 허용됨
- 최대 힙과 최소 힙이 존재
최대 힙 : 맨 위에 가장 큰 값 존재, 인덱스 1에 최대값 존재
최소 힙 : 맨 위에 가장 작은 값 존재, 인덱스 1에 최소값 존재
저장 방식
- 새 노드의 우선순위를 가장 낮게 생각하여 맨 끝에 위치
- 부모 노드와 우선순위를 비교하여 위치 변경
- 계속 반복
삭제 방식
- 루트 노드(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노드)을 제거
- 우선순위 가장 낮은 노드를 루트 노드 자리로 이동
- 2개의 자식 노드들 중 값이 더 큰 것과 비교하여 위치 변경
- 계속 반복
알아야 할 것은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노드(루트노드)를 뺴면,
딱히 오름차순이나 내림차순으로 정렬되어있지 않다는 것이다.
그냥 규칙에 따라 저장하고 삭제하고 있을 뿐, 나머지의 순서가 크기순은 아니다.
>>> 코드 2. 최대 힙 구현
import sys
def pop_heap():
if len(num) == 1:
return num.pop()
pop_data, num[0] = num[0], num.pop()
if num:
current, child = 0, 1
length = len(num)
while child < length:
sibling = child + 1
if sibling < length and num[child] < num[sibling]:
child = sibling
if num[current] < num[child]:
num[current], num[child] = num[child], num[current]
current = child
child = current * 2 + 1
else:
break
return pop_data
def push_heap(n):
num.append(n)
current = len(num)-1
parent = (current-1) // 2
while current > 0:
if num[current] > num[parent]:
num[current], num[parent] = num[parent], num[current]
current = parent
parent = (current-1) // 2
else:
break
def heap(n):
if n == 0:
if len(num) == 0:
print(0)
else:
print(pop_heap())
else:
push_heap(n)
num = []
for _ in range(int(sys.stdin.readline())):
n = int(sys.stdin.readline())
heap(n)
'백준 > 백준 파이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 파이썬 17626번 Four Squares (Today I Learn 2025.03.14) (0) | 2025.04.11 |
---|---|
백준 파이썬 11286번 절댓값 힙 (Today I Learn 2025.03.08) (0) | 2025.04.10 |
백준 파이썬 2225번 합분해 (Today I Learn 2025.03.02) (0) | 2025.04.08 |
백준 파이썬 5525번 IOIOI (Today I Learn 2025.02.28) (0) | 2025.04.07 |
백준 파이썬 9019번 DSLR (Today I Learn 2025.02.25) (0) | 2025.04.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