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5.1 조건문 개요

1. 제어문
- C언어는 순차처리언어로, 특별한 지정이 없으면, 소스코드 첫 줄부터 차례대로 처리
- 그러나 문제 해결 위해 처리 흐름 제어 필요 >> 제어문
- 따라서 C언어에서는 조건문, 반복문과 같은 제어문 제공

2. 제어문의 종류
조건문 : if 문, if-else 문, switch 문
반복문 : for 문, while 문, do-while 문
기타 : break 문, continue 문, goto 문, return 문

3. 조건문
- 조건에 따라 실행되는 코드가 달라지게 할 떄 사용하는 제어문
if 문, if-else 문, switch 문

5.2 if 문

1. if 문
- 조건식이 참이면 중괄호로 둘러 싸인 블록 안의 문장들이 실행된다.
- 구문

if (조건식){
문장; // 조건식이 참일 때만 실행
} // 블록 안의 문장이 하나인 경우 중괄호 생략 가능


2. 들여쓰기
- 일반적으로 if 문의 조건에 의해 영향을 받는 문장들은 쉽게 구별하기 위해 if 보다 더 들여씀(tab키 사용)
- 이는 가독성을 위한 것일 뿐, 구문에는 전혀 영향 없음

3. if 문 사용시 주의 사항
- if의 조건식 뒤에 바로 세미콜론 ;은 쓰지 않는다
>> 세미콜론을 써도 조건식이 참일 때 아무런 일도 하지 않는 하나의 문장으로 인식
- 조건식에서는 대입 연산자인 = 대신 비교 연산자 == 를 써야 한다.
- 만약 조건식에 대입연산자를 사용하면, 변수에 해당값이 대입되고, 
그 값이 0이면 거짓으로 인식되어 문장이 실행되지 않고, 
0이 아니라 다른 값이면 참으로 인식되어 해당값을 대입한 채로 조건문이 실행된다.

5.3 if-else 문
- if의 조건식이 참이면 조건식 바로 다음의 블록이 실행되고, 
조건식이 거짓이면 else문 다음의 블록이 실행된다
- 구문

if (조건식){
문장1; // 조건식이 참일 때 실행
}
else{
문장2; // 조건식이 거짓일 때 실행
}


5.4 다중 if 문

1. 다중 if문 or 중첩 if문
- if문 안의 문장이 또다른 if문인 경우(if-else문 포함)
- else는 위쪽에서 짝이 없는 가장 가까운 if와 짝이 된다
- else와 멀리있는 if와 짝을 지으려면 중괄호를 사용하여 if문의 적용범위를 지정해 주면 된다.

5.5 switch 문

1. switch 문
- 주로 다중 선택에 사용하는데, 다중 if문 보다 간결
- 대신, 사용 영역이 if-else에 비해 제한적
switch 문 수식의 결과값과 case의 값을 차례로 비교하여 일치하는 case의 문장들부터 차례로 시행

>> 이게 굉장히 주의해야할 점
만약 상위의 case 값이 수식의 값을 만족시킨 경우, 해당 case의 코드를 실행하고,
이후의 case 값과 비교해서 이후의 수식을 실행하는 것이 아니라,
해당 case 값을 만족시키면, 이후의 case값과 상관없이 이후의 모든 코드를 실행한다.

그래서 break 문이 중요하다.
또는 그냥 if 문을 사용하는 것이 낫다.

<형식>

switch(수식){
	case 결과값1:
	// 수식 == 결과값1인 경우 시행
	case 결과값2:
	// 수식 == 결과값2인 경우 시행
	default:
	// 이외의 경우 시행
}



2. switch 문 주의점
case에는 정수형 상수(문자 포함)만 가능
- 부동소수, 수식, 변수, 문자열 안됨

5.6 기타 제어문

 

1. break문
- if, else, else if, switch 문(조건문) 또는 for, while 문(반복문)을 중간에 벗어나는 역할
- 반복문 수행 도중 break문을 만나면 해당 반복문 끝으로 이동

 

2. continue문

- for, while 문(반복문)을 중간에 벗어나 처음으로 돌아가는 역할
- 반복문 수행 도중 continue문을 만나면 반복문 시작으로 이동 및 다시 반복

728x90
728x90

20240123 백준 C언어 공부
2884번 알람 시계

1. 문제
상근이는 매일 아침 알람을 듣고 일어난다. 
알람을 듣고 바로 일어나면 다행이겠지만, 항상 조금만 더 자려는 마음 때문에 매일 학교를 지각하고 있다.
상근이는 모든 방법을 동원해보았지만, 조금만 더 자려는 마음은 그 어떤 것도 없앨 수가 없었다.
이런 상근이를 불쌍하게 보던 창영이는 자신이 사용하는 방법을 추천해 주었다.
바로 "45분 일찍 알람 설정하기"이다.

이 방법은 단순하다. 원래 설정되어 있는 알람을 45분 앞서는 시간으로 바꾸는 것이다. 
어차피 알람 소리를 들으면, 알람을 끄고 조금 더 잘 것이기 때문이다. 
이 방법을 사용하면, 매일 아침 더 잤다는 기분을 느낄 수 있고, 학교도 지각하지 않게 된다.

현재 상근이가 설정한 알람 시각이 주어졌을 때, 
창영이의 방법을 사용한다면, 이를 언제로 고쳐야 하는지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2. 입력
첫째 줄에 두 정수 H와 M이 주어진다. (0 ≤ H ≤ 23, 0 ≤ M ≤ 59) 
그리고 이것은 현재 상근이가 설정한 알람 시간 H시 M분을 의미한다.

입력 시간은 24시간 표현을 사용한다. 
24시간 표현에서 하루의 시작은 0:0(자정)이고, 끝은 23:59(다음날 자정 1분 전)이다. 
시간을 나타낼 때, 불필요한 0은 사용하지 않는다.

3. 출력
첫째 줄에 상근이가 창영이의 방법을 사용할 때, 설정해야 하는 알람 시간을 출력한다. 
(입력과 같은 형태로 출력하면 된다.)

>>>코드

# include <stdio.h>
int main(void){
    int t, m;
    scanf("%d %d", &t, &m);
    if (m >= 45)    
        printf("%d %d", t, m-45);
    else if (t >= 1)
        printf("%d %d", t-1, m+15);
    else
        printf("%d %d", 23, m+15);
    return 0;
}



>>>문제 링크
https://www.acmicpc.net/problem/2884

728x90

+ Recent posts